본문 바로가기
OS/Linux

[CentOS 7] Git – 설치 및 사용

by 신군. 2018. 2. 22.
반응형

오늘은 Git을 CentOS 7에 설치해서 사용하는법을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Git은 리누스 토발즈가 리눅스 커널 관리를 위해서 만든 분산형 버전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Git == GitHub이라고 많은 분들이 생각하시는데요. 사실 Git 과 GitHub는 다른것입니다.

Git은 분산형 버전 관리 프로그램이고 GitHub는 이 Git을 호스팅해주는 사이트입니다.

Git 서버를 리눅스에 설치하셔서 사용하실수도 있고 AWS나 다른 호스팅업체에서도 GitHub와 비슷하게 Git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Git과 GitHub를 같이 이용해서 소스를 올리고 받아보는것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Yum을 이용해서 업데이트를 해주세요.

yum -y update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9.55.07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9.55.42

 

2. Yum을 이용해서 Git을 설치해주세요.

yum -y install git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9.56.55스크린샷 2016-06-19 오후 9.57.08

 

3. GitHub에 접속해 리포지토리를 만들어주세요.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9.58.26

 

4. 절차에 따라서 자신의 리포지토리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echo "# 리포지토리이름" >> README.MD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9.59.32

 

5. Git을 사용할수 있도록 하위디렉토리를 만들어주세요.

git init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08.09

 

6. 저장소에 파일을 추가해주세요.

(아직 GitHub에 파일이 올라간것은 아닙니다.)

git add README.md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08.46

 

7. Git에서 보여질 커밋을 해주세요.

git commit -m "Test GitHub"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10.01

 

8. 원격 서버를 선택해주세요.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계정이름/리포지토리이름.git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10.32

 

9. 저장소에 추가한 파일을 GitHub로 넣어주세요.

git push -u origin master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10.42

 

10. GitHub 계정이름을 입력해주세요.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11.35

 

11. GitHub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11.46

 

12. 저장소에 있던 파일이 GitHub에 올라갔습니다.

GitHub에 접속하셔서 리포지토리에 접속해보시면 README.md라는 파일이 만들어진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12.07

 

13. 테스트로 GitHub에 올려볼 스크립트 하나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im test.sh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15.42

 

14. echo를 이용해서 문구를 출력하는 간단한 스크립트를 작성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i, vim 사용시 입력하실때는 i(아이), 입력 완료후 ESC(이스케이프), 저장이나 나가실때는 :(클론) (w, q, wq)

echo "Hello GitHub"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15.50

 

15. 저장소에 방금 작성한 스크립트 파일을 넣어주세요.

git add ./test.sh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1.26

 

16. 커밋을 해주세요.

git commit -m "Test ShellScript(echo)"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2.28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2.37

 

17. PUSH를 해서 GitHub에 넣어주세요.

git push origin master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2.47

 

18. GitHub의 계정이름을 입력해주세요.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3.01

 

19. GitHub의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3.30

 

20. GitHub에 접속하시면 방금 push한 test.sh 스크립트 파일을 볼수 있습니다.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3.47

 

21. 이번엔 Push말고 Pull을 테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itHub에서 직접 내용 몇가지를 추가해주세요.

echo "Hello GitWorld"
echo "Hello CentOS"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4.34

 

22. Commit changes 버튼을 눌러주세요.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4.36

 

23. 수정된 파일을 받아오도록 하겠습니다.

git pull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6.27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6.36

 

24. 다시 test.sh 스크립트 파일을 열어보면 방금 수정한 내용이 반영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vim ./test.sh

스크린샷 2016-06-19 오후 10.26.44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에 Maven 설치하기  (0) 2018.02.23
profile bashrc bash profile  (0) 2018.02.22
CentOS 7에 MySQL 설치하기  (0) 2018.02.22
CENTOS 7 NTFS 디스크 마운트  (0) 2018.02.22
리눅스 vi 명령어 정리  (0) 2017.02.26